티스토리 뷰

IT

구글 검색기록 삭제와 끄는법

^_,,_^ 2020. 2. 4. 20:01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구글링을 하면서 회의자료를 준비하거나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다양하고 중요한 정보들을 많이 취합하고 있습니다.

 

개인PC를 사용할때에는 상관없겠지만 여러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PC라면 구글링 했던 기록 즉 검색기록을 말끔하게 지워버리고 싶은 마음을 다들 가지고 계실것입니다.

 

익스플로러를 사용할 시 비교적 단숨에 처리할 수 있었던 쿠키삭제의 기능만큼 구글 검색기록을 삭제하는 과정이 심플하진 않지만 제시해드리는 과정을 따라한다면 1분안에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처음 삭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신분들도 계실테고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하게 모르고 있었던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간단한 쇼핑 정보일지라도 누구한테는 중요한 정보가 검색되어진 기록에 대하여 남아있는 흔적때문에 제3자에 의해 낭패를 보았다라는 분도 계신만큼 PC를 공용으로 사용한다면 삭제하는 습관을 가지는것도 좋습니다.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1. 크롬을 켠다

2. 오른쪽 상단 설정에서 방문기록에 접속한다 (단축키는 컨트롤 + H 입니다.)

3.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이용하여 해당 기간을 설정한 다음 말끔히 삭제한다.

 

 

크롬에서 구글 ID를 이용하여 로그인한 다음 활동했었던 검색 기록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따라해주시면 됩니다.

 

구글 로그인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로그인 이후 계정 선택

 

빨간색 네모칸 표시해놓은 곳에 있는 계정으로 들어갑니다.

 

데이터 및 맞춤설정 관리

 

데이터 및 맞춤설정 관리안에서 삭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내 활동

 

스크롤을 내린다면 해당 기기 외에 본인이 로그인 했었던 모든 환경에서 검색했던 기록을 "내 활동"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활동 삭제법

 

말끔하게 삭제되어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록을 남겨야 하는 특수한 상태가 아니라면 저장되는 부분에 있어서 끄기 기능을 이용하여 아에 끄는법을 알려드립니다. 자동 삭제되어지기 때문에 기록 로그가 남지 않습니다.

 

 

PC나 모바일에서 과정이 똑같습니다. 구글 설정 창은 안드로이드폰이나 아이폰이 같기때문에 따라해주시면 됩니다.

 

 

모바일에서 활동 제어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에 활동 제어로 들어오게 되면 웹 및 앱 활동에 대하여 ON/OFF 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을 움직입니다.

 

활동 일시 중지

 

비교적 간단하게 구글 검색기록 끄기 설정이 완료됩니다.

 

진행중에 막히거나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